
중국이 해외 인플루언서들을 전면에 내세워 국가 이미지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동안 강압적인 '전랑(늑대전사) 외교'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국제사회에서 중국에 대한 비호감도가 높아지자, 자국 내에서는 차단된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해외 소셜 미디어를 역이용하는 방식으로 '소프트 파워'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다. '중국의 진짜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명목 아래 여행 경비 전액 지원 등의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며 우호적인 콘텐츠 생산을 유도, 부정적인 여론을 완화하고 정치적 이미지를 관리하려는 의도가 뚜렷하다.
'진짜 중국'을 보여줄 청년 인플루언서 모집
최근 블룸버그통신과 르몽드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청년보 등 관영 매체들은 '중국-글로벌 청년 인플루언서 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짜 중국'을 세계에 알릴 구독자 30만 명 이상의 청년 인플루언서를 모집하고 있다.
지원 자격은 만 18세에서 35세 사이의 미국 거주자로, 유튜브, 틱톡, X(구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 주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중국 문화에 대한 호감을 가진 이들이다. 특히 "불량한 행동" 전력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을 명시하며 콘텐츠의 순수성과 신뢰도를 강조하는 모습이다.
선발된 인플루언서들은 오는 7월 중 10일간 베이징, 상하이, 선전, 쑤저우, 한단 등 주요 5개 도시를 방문한다. 방문 일정에는 중국의 전자상거래 허브 시찰, 샤오홍슈(小紅書) 및 비야디(BYD) 본사 견학 등 첨단 산업 탐방과 태극권 체험, 만리장성 라이브 방송 등 전통문화 체험이 포함된다. 비자 발급 절차에 중국 정부의 특별 지원이 이루어지며, 모든 체류 경비는 중국 측이 부담한다. 이는 인플루언서들이 오로지 콘텐츠 제작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명 유튜버들의 '친중' 콘텐츠 확산
최근 외국 인플루언서들의 중국 방문기가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며 중국 정부의 이러한 전략이 일정 부분 성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4,13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미국의 유명 유튜버 대런 왓킨스 주니어(채널명 아이쇼스피드)는 지난 3월부터 4월까지 중국 상하이와 베이징을 방문해 현지인들과 소통하는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그는 중국 전통의상이나 국기 문양이 새겨진 티셔츠를 입고 중국 가요를 부르거나 춤을 추고, 소림사에서 무술을 배우는 등 중국 문화에 대한 감탄을 연신 드러냈다. 그의 영상은 중국 관영 매체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서구의 편견을 넘어 진짜 중국을 보여준 방송", "체험과 공감이 고정 관념을 바꿨다"는 찬사와 함께 집중적으로 홍보되었다. 관영 신화통신은 해당 영상의 일부를 쇼츠(Shorts) 영상으로 편집해 '원래 중국은 이런 곳'이라는 제목의 홍보 콘텐츠로 재가공하기도 했다.
더욱 주목할 만한 점은 그동안 반중 성향으로 알려진 인물들까지도 중국에 우호적인 콘텐츠를 생산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대만 출신의 유명 유튜버 천즈한(陳之漢)은 최근 자신의 채널에 중국 여행기를 담은 영상을 공개하며 중국의 고속철도와 공공화장실 환경을 칭찬하는 등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천즈한은 2019년 중국 공산당에 반대하는 시위를 주도하고 친중 언론과 정치인을 비판해 총격 테러까지 당했던 인물이다. 그는 영상 제작에 중국 정부의 금전적 지원은 없었다고 밝혔지만,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희망을 내비치며 향후 친중 콘텐츠 생산 가능성을 시사했다.
'차이펑(采風)'과 유사한 뉴 미디어 선전전
중국이 해외 인플루언서를 활용하는 이러한 방식은 과거 마오쩌둥 주석이 미국 언론인 에드거 스노를 통해 홍군을 낭만적인 게릴라로 묘사하게 하거나, 일부 작가들에게 인권 유린 현장으로 지목되는 감옥을 공개했던 '차이펑(采風)' 선전 활동과 유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새로운 콘텐츠를 갈망하는 인플루언서들과 국제 이미지 개선을 꾀하는 중국 정부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앞으로도 중국 우호적인 콘텐츠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 커틴대학교 청밍밍 교수는 싱가포르 CNA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루언서들이 중국 정부의 초청을 받지만 콘텐츠는 정부가 아닌 인플루언서 스스로 제작하기 때문에 접근 방식이 다르다"며, "이는 '판다 외교'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평가했다. 강압적인 방식의 외교에서 벗어나 해외 인플루언서들의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을 유도하는 중국의 새로운 공공외교 전략이 국제 여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중국이 해외 인플루언서들을 전면에 내세워 국가 이미지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동안 강압적인 '전랑(늑대전사) 외교'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국제사회에서 중국에 대한 비호감도가 높아지자, 자국 내에서는 차단된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해외 소셜 미디어를 역이용하는 방식으로 '소프트 파워'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다. '중국의 진짜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명목 아래 여행 경비 전액 지원 등의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며 우호적인 콘텐츠 생산을 유도, 부정적인 여론을 완화하고 정치적 이미지를 관리하려는 의도가 뚜렷하다.
'진짜 중국'을 보여줄 청년 인플루언서 모집
최근 블룸버그통신과 르몽드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청년보 등 관영 매체들은 '중국-글로벌 청년 인플루언서 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짜 중국'을 세계에 알릴 구독자 30만 명 이상의 청년 인플루언서를 모집하고 있다.
지원 자격은 만 18세에서 35세 사이의 미국 거주자로, 유튜브, 틱톡, X(구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 주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중국 문화에 대한 호감을 가진 이들이다. 특히 "불량한 행동" 전력이 없어야 한다는 조건을 명시하며 콘텐츠의 순수성과 신뢰도를 강조하는 모습이다.
선발된 인플루언서들은 오는 7월 중 10일간 베이징, 상하이, 선전, 쑤저우, 한단 등 주요 5개 도시를 방문한다. 방문 일정에는 중국의 전자상거래 허브 시찰, 샤오홍슈(小紅書) 및 비야디(BYD) 본사 견학 등 첨단 산업 탐방과 태극권 체험, 만리장성 라이브 방송 등 전통문화 체험이 포함된다. 비자 발급 절차에 중국 정부의 특별 지원이 이루어지며, 모든 체류 경비는 중국 측이 부담한다. 이는 인플루언서들이 오로지 콘텐츠 제작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편의를 제공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명 유튜버들의 '친중' 콘텐츠 확산
최근 외국 인플루언서들의 중국 방문기가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며 중국 정부의 이러한 전략이 일정 부분 성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4,13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미국의 유명 유튜버 대런 왓킨스 주니어(채널명 아이쇼스피드)는 지난 3월부터 4월까지 중국 상하이와 베이징을 방문해 현지인들과 소통하는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그는 중국 전통의상이나 국기 문양이 새겨진 티셔츠를 입고 중국 가요를 부르거나 춤을 추고, 소림사에서 무술을 배우는 등 중국 문화에 대한 감탄을 연신 드러냈다. 그의 영상은 중국 관영 매체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서구의 편견을 넘어 진짜 중국을 보여준 방송", "체험과 공감이 고정 관념을 바꿨다"는 찬사와 함께 집중적으로 홍보되었다. 관영 신화통신은 해당 영상의 일부를 쇼츠(Shorts) 영상으로 편집해 '원래 중국은 이런 곳'이라는 제목의 홍보 콘텐츠로 재가공하기도 했다.
더욱 주목할 만한 점은 그동안 반중 성향으로 알려진 인물들까지도 중국에 우호적인 콘텐츠를 생산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대만 출신의 유명 유튜버 천즈한(陳之漢)은 최근 자신의 채널에 중국 여행기를 담은 영상을 공개하며 중국의 고속철도와 공공화장실 환경을 칭찬하는 등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천즈한은 2019년 중국 공산당에 반대하는 시위를 주도하고 친중 언론과 정치인을 비판해 총격 테러까지 당했던 인물이다. 그는 영상 제작에 중국 정부의 금전적 지원은 없었다고 밝혔지만, 중국 시장 진출에 대한 희망을 내비치며 향후 친중 콘텐츠 생산 가능성을 시사했다.
'차이펑(采風)'과 유사한 뉴 미디어 선전전
중국이 해외 인플루언서를 활용하는 이러한 방식은 과거 마오쩌둥 주석이 미국 언론인 에드거 스노를 통해 홍군을 낭만적인 게릴라로 묘사하게 하거나, 일부 작가들에게 인권 유린 현장으로 지목되는 감옥을 공개했던 '차이펑(采風)' 선전 활동과 유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새로운 콘텐츠를 갈망하는 인플루언서들과 국제 이미지 개선을 꾀하는 중국 정부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면서, 앞으로도 중국 우호적인 콘텐츠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 커틴대학교 청밍밍 교수는 싱가포르 CNA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루언서들이 중국 정부의 초청을 받지만 콘텐츠는 정부가 아닌 인플루언서 스스로 제작하기 때문에 접근 방식이 다르다"며, "이는 '판다 외교'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평가했다. 강압적인 방식의 외교에서 벗어나 해외 인플루언서들의 자발적인 콘텐츠 생산을 유도하는 중국의 새로운 공공외교 전략이 국제 여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