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편집매스미디어편집디자인의 전문적인 조합입니다"

30여년 넘게 수많은 중앙일간지, 지역 일간지 및 주간지 창간 경험을 가지고 있는 피아이:피엘(주식회사 국도)는 단순히 신문 제작에 그치지 않고 귀사를 미디어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전략을 제공해 드립니다.


💬 1:1문의(카카오채널)      💭 070-8764-8700 

💬 Mail tomykoreakr@naver.com

홍보 담당이 알아야 할 보도자료 작성법

2023-09-03
조회수 156


1. 보도자료의 가치

마케팅 담당자나 공보, 홍보 담당자들이 보도자료를 작성 하면서 단순한 오류에 빠지는 것중에 하나가 자세히 써야만 된다는 생각 입니다.

그러나 보도자료가 만들어 졌다 하더라로 수많은 보도자료 기자들에 의해 기사화 되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 입니다.

 

설사 기사화 됐다 하더라도 독자들에게 읽혀 지지 않고 버려지는 기사가 허다 합니다.

따라서, 기자들에게 관심 갖을 만한 내용, 독자들에게 읽혀 지는 기사로 작성 돼야 합니다,

 

# Check List

-과거 보도 유무(시간성)

-대중의 관심사

-회사의 사업 목적과의 적합성

 

2. 보도자료의 구조

1>역피라미드 형식

Headline : 제목, 부제목

Lead : 문장 전체를 표현 할 수 있는 함축된 1개 또는 2개의 문장

Body : 내용

Additional Contents : 삭제해도 문장 전체의 내용과 의도가 바뀌지 않는 설명

 

2>6하 원칙(Who, What, When, Where, Why, How) : 사실과 근거에 기반을 두고 독자의 입장에서 작성

 

3>배포시기 : 기사의 가치는 배포시기에 의해 좌우됨

 

3. 보도자료의 검토(Review) 및 승인

- 간결성(Concise), 사실성(Factual), 객관성(Objetive) 확인

- 작성자(담당부서, 직원의 이름, 연락처) 표기 확인

- 승인(회사내 승인후 배포)

 

4. 보도자료 작성법

- 제목(Headline)과 부제목

제목은 짧은 시간내에 뉴스의 가치를 결정 짓게 하고 독자들에게 가독성을 높여 줍니다, 즉 핵심을 찌르는 한문장이 좋은 제목 입니다.

제목을 보고 기사의 내용을 짐작할 수 있도록 분명해야 하며 기사의 핵심을 간추린 것이어야 합니다(요즘 본문과 관계 없이 뽑아내는 제목이 있는데 이는 기사의 품격을 떨어 뜨리게 됩니다.

 

-리드(Lead)

리드는 기사의 핵심 요점을 알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 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독자들이 기사를 구독 할 때 에는 제목 또는 사진 > 리드 >본문 순으로 읽어 나갑니다.

 

-본문

본론은 기업체나 개인이 주장하고자 하는 바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나타 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사실을 첫 문장에 넣는 것이 좋고 매 단락 마다 토픽이 있어야 하며 단락간의 연결이 매끄러워야 합니다.

 

문장은 단문을 사용해 독자들이 이해를 쉽게 단문 형태로 쓰며 연결어, 수식어, 동일 단어의 겹침은 자제 해야 합니다.

또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구어체 문장을 사용해 고졸 정도의 학력이면 충분히 이해가 되는 용어로 구사하고 전문용어는 최대한 억제하고 쉽게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5. 보도자료의 종류

-스트레이트 뉴스(역 삼각형의 형태로

주로 시간성이 있는 뉴스로 6하원칙을 사용하며 단신 처리 기사로 분류 됩니다.

글 전체를 압축한 리드 부분이 나오고 기사의 중요도 순으로 사실, 보충 설명, 짧은 인터뷰 순으로 작성 하는 문장 전체의 중요도가 역 삼각형 형태를 보이는 보도자료입니다.

 

-기획·해설 기사

스트레이트 기사에 대한 분석과 전망 등을 자세하게 기술하는 형태의 보도자료입니다. 서론, 본론, 결론과 같이 기사 전체의 중요도가 정삼각형 형식를 띠는 보도자료입니다.

 

-Feature 기사

읽을 거리 중심의 보도자료로 미담이나 화제거리, 에피소드, Gossip 기사 등 흥미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기사로 평범하지 않은 독특한 소재를 선택 하여야 합니다.

 

-Caption 기사

 사진을 중심으로 뉴스를 전달하는 형태의 보도자료로 때로는 스트레이트 기사보다 홍보 효과가 더 클 수 있습니다. 변화 즉 폭우, 가뭄, 설경 등도 있다. 사진의 미학적 구도를 잘 정리, 사진의 메시지를 가장 극대화 한 구도여야 한다.